[한국문화예술위원회] 2025 아르코 크리틱 랩
rko Critics LAB
2025 아르코 크리틱 랩은 비평가의 말과 글에 주목합니다. 동시대 미술의 위치를 가늠하고, 비평의 역할을 고민하며, 이를 담아낼 언어를 고안하는 배움의 과정에 참여할 비평가를 찾습니다. 더 친밀하고 정확한 언어, 새로운 눈이 될 언어를 발굴하고 독자와의 접점을 다각도로 모색해 봅니다. 선정 비평가는 총 5개월간 기본 연구비를 지원받으며, ‘공간, 미술사, 사회, 젠더’ 주제별 그룹 활동을 통해 공동 연구를 진행한 뒤, 최종 비평을 생산합니다.
한국문화예술위원회
2025 크리틱 랩을 여는 질문입니다.
[① 공간] 윤원화 “미술 공간은 죽어서 무엇을 남기나?”
[② 미술사] 구나연 “우리 시대의 아방가르드는 가능한가?”
[③ 사회] 서동진 “감각, 경험, 정동, 감정이 비평 담론을 주도할 때, ‘사회’는 비평에서 무엇일까?”
[④ 젠더] 이진실 “오늘날 미술에서 젠더의 테크놀로지는 어떻게 작동하는가?”
1. 모집개요
· 주제: 공간, 미술사, 사회, 젠더
· 대상: 만 39세 미만의 신진 비평가
· 인원: 주제별 4개 그룹, 그룹별 2명씩 총 8명 모집
· 마감: ~7월 6일(일)까지
2. 활동개요
· 기간: 총 5개월 (2025년 7~11월)
· 내용: 그룹별 공동 연구(대면·비대면) 및 최종 비평 집필
· 지원: 인당 최대 350만원 지원 (활동비, 원고료)
- 활동비: 50만원씩 5개월 간 총 250만원 지원
- 원고료: 매당 2만원씩 50매 기준 최대 100만원 지급
※ 활동비와 원고료는 사례비로 지급하며 이에 따라 별도의 정산 의무는 없습니다
3. 운영위원회
· PM: 우아름
· 비평가: 구나연, 서동진, 윤원화, 이진실
· 당연직: 임근혜
4. 자료제출
1) 종류
· 지원신청서: 구글 폼
· 활동계획서: 프레젠테이션 (.pptx)
· 비평원고: 최대 2편 (.pdf)
2) 방법
· 지원신청서: 구글 폼 작성 https://forms.gle/CqhwgmpfHVMUAH7k9
· 활동계획서와 비평원고: 이메일 제출 (arkolab@arko.or.kr)
5. 문의
· 문의처: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다원예술팀
· 전화번호: +82 (0)61-900-2345 (2341)